봄이 오면 유행하기 시작하는 식중독 증상 및 예방하는 법 총 정리
본문 바로가기
건강 정보

봄이 오면 유행하기 시작하는 식중독 증상 및 예방하는 법 총 정리

by Just 1 minute 2023. 2. 19.
반응형
  • 펄펄 끓는 물에도 죽지 않는 식중독 원인 '퍼프린젠스균'
  • 식중독 증상
  • 식중독 예방하는 법
  • 각 계절철 식중독 예방요령

 

반응형

 

식중독 원인 퍼프린젠스균
식중독 원인 퍼프린젠스균

 

퍼프린젠스균 식중독 원인

 

뜨겁게 끓였던 음식도 실온에 방치하게 두면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 식중독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퍼프린젠스균'이란

산소가 없는 조건과 43 ~ 47도의 온도에서

잘 자라는 혐기성 세균으로

토양, 하천, 등 자연환경과 사람,

동물의 장, 분변 및 식품에 분포하는 세균입니다.

이 균은 다행히 열에 약해서

약 75도의 이상 온도에서

사멸되게 됩니다.

퍼프린젠스균 식중독 사고는

일반적으로 봄, 가을에 가장 많이 발생하지만

식품 온도 관리가 소홀해지는

겨울에도 안심할 수가 없습니다.

 

 


 

 

식중독 증상

 

이 식중독은 일반적으로 식사 후

6 ~ 24시간 잠복기 이후에

설사나 복통 등, 가벼운 장염의 증상으로

시작이 됩니다.

퍼프린젠스균 식중독의 주된 원인 식품으로는

음식을 대량 조리, 배달하는 음식점이나

급식소에서 국, 고기찜 등을 조리하고

그대로 실온에 장시간 보관한 후에

충분히 재가열을 하지 않을 경우

식중독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봄이라서 아직 서늘하니까 

실온에 방치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꼭 일정시간 음식을 보관하신 후에

충분히 재가열을 해서 끓여주시길 바랍니다.

 

 


 

 

식중독 예방하는 법

 

대량조리 음식 식중독 주의하는 요령

 

 

1. 육류는 중심온도 75도에서, 어패류는 85도에서

1분 이상 완전히 익혀주시길 바랍니다.

 

 

2. 되도록이면 조리한 즉시 제공을 해주시길 바랍니다.

상온에 방치된 음식이 서서히 식으면서

식중독균이 증식할 수 있습니다.

 

 

3. 뜨거운 음식은 빠르게 냉각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음식을 보관하는 경우에는 용기 여러 개에

나눠서 담아주는 게 좋습니다.

 

 

4. 따뜻한 음식은 60도 이상, 차가운 음식은 5도 이하에서

보관해 주시고 음식을 섭취하실 경우에는

독소가 파괴될 수 있도록 75도 이상으로

꼭 재가열을 해주시길 바랍니다.

 

 


 

 

각 계절철 식중독 예방요령

 

1. 여름철 식중독 예방요령

 

ㅡ집단급식소 등에 납품되는 식재료들이 적절한 온도 관리 없이

외부에서 방치되지 않도록 식재료 보관과 부패, 변질에

유의해주시길 바랍니다.

 

ㅡ샐러드등 신선한 채소류는 깨끗한 물로 세척을 하고

물은 끓여 마셔야 합니다.

 

ㅡ육류와 어패류 등을 취급했던 칼, 도마 등이

교차오염이 생기지 않도록 구분해서 사용해 주세요.

 

ㅡ나들이, 학교, 현장 체험학습, 야유회 등을 가실 경우

이동 중 준비한 김밥, 도시락, 등의 보관온도가 

높아지거나 보관시간이 길어지지 않도록 

아이스박스를 사용하는 등 음식물 관리에

신경 써주시길 바랍니다.

 


 

2. 겨울철 식중독 예방요령

 

ㅡ식품조리 종사자는 손 씻기 등, 개인위생관리에

철저히 신경 써주셔야 합니다.

 

ㅡ음식물은 반드시 충분히 익혀서 드시길 바랍니다.

 

ㅡ설사, 구토 증상이 있는 사람의 구토물을 처리하는 경우

반드시 일회용 장갑을 착용하고 오물은 비닐봉지에 넣어 봉하여

처리하고 염소계 소독제를 이용해서

신속하게 소독을 해주세요.

 

ㅡ노로바이러스는 사람 간의 2차 감염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오염된 표면은 염소계 소독제로

철저히 소독을 해주세요.

 

 


 

3. 장마철 식중독 예방

 

ㅡ침수되었거나 의심되는 채소류나 음식물은 반드시

폐기하시길 바랍니다.

 

ㅡ냉장고에 있는 음식물도 주의하시길 바라며

유통기한 및 상태를 꼭 확인해 주세요

 

ㅡ물은 반드시 끓여드시길 바랍니다.

 

ㅡ행주, 도마, 식기 등은 끓는 물 또는 기구 등의

살균, 소독제로 소독하여 사용해 주세요.

 

ㅡ실외에 있는 된장, 고추장 독에

비가 새어들지 않도록 밀봉을 잘해주시길 바랍니다.

 

ㅡ설사나 구토 증상 등이 있으면 

신속하게 가까운 병원에 가서 치료를 받으시길 바랍니다.

 

 


 

 

 

이번에는 봄철에 유행하기 시작하는

식중독의 원인과 증상, 예방하는 방법과

각 계절철 식중독 예방하는 방법을 

알려드렸습니다.

항시 위생관리와 음식물 상태를 확인하시고

드시길 바랍니다.

저는 다음에 더욱 좋은 정보롤 갖고

찾아뵙겠습니다.

모두 건강하세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