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도 청년예산 정보와 청년도약계좌 대상 신청기간 및 신청방법 지급시기
본문 바로가기
2023년 정부 지원금 및 생활정보

2023년도 청년예산 정보와 청년도약계좌 대상 신청기간 및 신청방법 지급시기

by Just 1 minute 2023. 2. 2.
반응형
  • 청년도약계좌 정보 및 신청기간
  • 지원대상
  • 신청방법
  • 2023년 청년예산 정부지원금 정리
반응형
청년도약 계좌

청년도약계좌 정보 및 신청기간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의 자산형성을 위해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월 40만 원에서 최대 월 70만 원씩
5년간 납입을 하면 정부에서는 지원금을 지원해 주며
함께 5000만 원의 목돈을 만들어주는 사업입니다.
이번 알아볼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은
2023년 06월부터 시행할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2023년 06월~2025년 12월 31일까지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참고로 비슷한 사업인 청년희망적금은
2022년 02월 출시되어 추가 가입은 불가능하며
2년 뒤 만기가 종료되어 2024년 사업이 종료됩니다.

지원대상

2023년 기준 중위소득 (단위: 원)

가구원 수 1인가구 2인가구 3인가구 4인가구  
중위소득
180%
3,740,206 원 6,221,079 원 7,982,669 원 9,721,735 원


청년의 저축금액에 정부가 지원금을 지원해 주는 청년도약계좌는
나이는 만 19세~34세 중에 개인소득이 6000만 원 이하이면서
가구원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인 기준을 충족하는
청년이 지원 가능하고 가입이 가능한 대상입니다.
납입 한도는 연 840만 원 (월 최대 70만 원)이고
5년간 의무적으로 납부하는 조건으로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가구원 소득과 기준 중위소득은 위 표를 참고해 주세요.
모든 조건을 충족해야 가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정확한 확인이 필요합니다.
구체적인 가입조건은 올해 01월~02월에 공개될 예정입니다.
신청을 완료한 대상에 한해
5년간 의무가입을 해야만 정부지원을 받을 수 있는데
가입의무를 채우지 못하고
중도 해지하게 될 경우 감면세액이 추징되어
혜택이 줄어들 수 있으므로 5년간 성실히 납부할 수 있는지
신중하게 선택하고 결정하셔야 합니다.

신청방법


신청방법은 본인이 가입을 원하는 은행의 어플
또는 복지로 홈페이지 접속하여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복지로에서 신청하는 방법은 추후에
복지로 홈페이지에 신청가능한 날짜에 다시 올려드리겠습니다.

23년 청년예산 정부지원금 정리

2023년 청년지원 예산(출처:korea.kr)

군장병 인건비-급식비 3조 5,700억 원 ㅡ> 4조 2,500억 원

  • 병장 봉급 기준 월 67.6만 원 ㅡ> 100만 원으로 인상
  • 급식단가 일 1.1만 원 ㅡ> 1.3만 원으로 인상

장병내일준비적금 2,500억 원 ㅡ> 7,600억 원

  • 자기 부담금(750만 원)에 정부 매칭 및 상향 250만 원 ㅡ> 540만 원으로 인상
  • 전역 시 최대 1,290만 원 수령

청년내일저축계좌 289억 원 ㅡ> 1,600억 원

  • 저소득 청년 자산 형성에 대해 지원 강화
  • 지원인원 최대 10.4만 명 ㅡ> 최대 17.1만 명으로 확대

청년주택 0억 원 ㅡ> 1조 700억 원

  • 역세권 등의 시세 70% 이하의 주택 공급 신규 5.4만 호

청년 일자리 도약 장려금 5,400억 원 ㅡ> 9,200억 원

  • 취약 청년 장기근속 등 유도 지원
  • 지원 기간 및 규모 확대 , 1년간 960만 원 ㅡ> 2년간 1,200만 원으로 인상


이상 2023년도 청년 지원 정부 예산금들을 확인해 봤습니다.
각각, 지원예산금들 내용을 따로 글을 써서 올려드리겠습니다.
오늘 얘기한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이
곧 공개(01월~02월)될 예정이니
가입조건 확인해 보시고
결정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저는 나중에 더 좋은 정보를 갖고
찾아뵙겠습니다.
건강하세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