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월세 부담 없애는 정보, 2023년 무주택 청년월세지원 대상자 및 신청방법 각 지역별 정리
본문 바로가기
2023년 정부 지원금 및 생활정보

청년 월세 부담 없애는 정보, 2023년 무주택 청년월세지원 대상자 및 신청방법 각 지역별 정리

by Just 1 minute 2023. 2. 2.
반응형
  • 청년월세지원 대상자 정보
  • 신청방법
  • 지역별 청년월세지원
반응형

청년월세지원 대상자 정보


청년월세지원 사업의 지원대상은
만 19세~34세의 청년으로 부모님과 별도로 거주하는
무주택 청년이 지원대상입니다.
만 19세~34세가 되는 해의 1월 1일부터 신청하여 지원받을 수 있으며
기혼자나 미혼자도 모두 지원가능합니다.
또한 보증금 5000만 원 이하,
월세 60만 원 이하인 주택에
거주하시는 경우에는 최대 20만 원의 지원금
12개월 동안 받으실 수 있습니다.
월세가 60만 원을 초과하더라도 보증금과 월세 환산액을 합산하여
70만 원 이하인 경우까지 지원하실 수 있습니다.
다만 소득과 재산요건은
청년가구뿐만 아니라 부모를 포함한 원가구의 소득 및 재산이
기준에 충족해야 월세지원이 가능하다는 점 참고해 주세요.
소득 및 재산기준은 아래 표를 참고해 주세요.

구분 청년가구 원가구
소득
평가액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
(1인가구 기준 월 116만원)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3인가구 기준 월 419만원)
재산가액 1억 700만원 이하 3억 8000만원 이하



신청방법

구분 신청방법 신청기간
온라인
신청
복지로 홈페이지 2022년 08월 22일부터 (1년간)
2023년 08월 23일까지
방문
신청
주소지 관할 행정복지센터

신청방법은 온라인과 방문하여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 신청인 복지로 홈페이지 접속인 경우에는
본인인증 절차를 거쳐 로그인하셔 접수하시면 됩니다.
로그인 후 신청하시고 순서대로 입력하고
자가진단도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복지로 홈페이지

방문신청은 주민등록증을 가지고
주소지 관할 행정복지센터를 찾아가서 신청해 주시면 됩니다.
신청기간은
2022년 08월 22일부터 2023년 08월 22일까지
1년간 수시로 접수가 가능합니다.
신청자에 대해 소득과 재산 등 심사를 거친 후에
2022년 11월부터 지원금을 지원할 예정입니다.
2022년 08월에 신청하셨다면
11월부터 4개월 분(08월~11월)까지 지원금을
소급하여 받으실 수 있습니다.


지역별 청년월세 지원

서울특별시 홈페이지



청년월세지원 신청안내는 거주하시는 각 지자체별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 경기도, 인천, 대구, 부산, 광주 등 본인이
거주하시는 해당 지역에 접속하여 확인해 주시면 됩니다.



곧 6개월 뒤면 청년월세지원 사업의 기간이 끝나게 됩니다.
시작됐던 2022년 08월부터 현재까지의 지원금은
모두 소급하여 지급한다고 하니
지금이라도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자가진단을 통해 자격 및 심사를
확인해 보시고
신청해 보시길 바랍니다.





청년월세지원금에 대해 알려드렸습니다.
저는 다음에는 더욱더 좋은 정보를 갖고 찾아뵙겠습니다.
모두 건강하세요.

반응형

댓글